LaTeX2010. 3. 20. 15:38
역시 대부분 학부 때 정리한 것을 다시 정리하면서 옮긴 것이다.
새롭게 추가한 내용은 많지 않다.

소스 코드 넣는 법이다.
컬러풀하게 넣으려면 highlight 등을 쓰는 것도 괜찮지만, 그정도는 필요 없고 적당히 넣으려면 다음처럼 하면 된다.
물론 ktug.or.kr에서 도움을 받았다.

\url{http://faq.ktug.or.kr/faq/SourceCodeListing}\\
\url{http://faq.ktug.or.kr/faq/PDFHyperLink} % url 넣는 법
fancyvrb 사용..

\begin{Verbatim}[frame=lines,label=helloworld.c,numbers=left]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printf("Hello, world!");

return 0;

}

\end{Verbatim}

moreverb, listings 등도 있음.


그림과 표 넣기
이것도 방법이 많다.
\begin{figure}[ht]
    \begin{minipage}{.30\textwidth}
        \includegraphics[width=\textwidth]{pic/12.png}
    \end{minipage}
    \hfill
    \begin{minipage}{.65\textwidth}
        \begin{center}
        \begin{tabular}{ccc|cccccccc}
            \multicolumn{3}{c|}{Input}&\multicolumn{8}{|c}{Output}\\
            $\mathrm{I_2}$&$\mathrm{I_1}$&$\mathrm{I_0}$&%
            $\mathrm{F_0}$&$\mathrm{F_1}$&$\mathrm{F_2}$&%
            $\mathrm{F_3}$&$\mathrm{F_4}$&$\mathrm{F_5}$&%
            $\mathrm{F_6}$&$\mathrm{F_7}$\\\hline
            0&0&0&1&0&0&0&0&0&0&0\\
            0&0&1&0&1&0&0&0&0&0&0\\
            0&1&0&0&0&1&0&0&0&0&0\\
            0&1&1&0&0&0&1&0&0&0&0\\
            1&0&0&0&0&0&0&1&0&0&0\\
            1&0&1&0&0&0&0&0&1&0&0\\
            1&1&0&0&0&0&0&0&0&1&0\\
            1&1&1&0&0&0&0&0&0&0&1\\
        \end{tabular}
    \end{center}
    \end{minipage}
\caption{이게뭘까?}\label{fig126}
\end{figure}
그림 두 개 넣기도 이런 식으로 하면 되고, 그림의 폭이 크면 \begin{adjustwidth}{-2.5cm}{-2.5cm} \end{adjustwidth}를 쓰면 된다. 또는 landscape 패키지를 써써 옆으로 넣기도 한다.

graphviz
\url{http://www.graphviz.org/}

테두리 박스
\url{http://faq.ktug.or.kr/faq/LaTeXBoxes}

SI 단위

SIunits라는 패키지가 있다. 그냥 수식 안에서 \textrm을 쓰는 방법도 있다.


수학 기호
http://www.ktug.or.kr/jsboard/read.php?table=operate&no=14440
라플라스 기호, 푸리에 트랜스폼 기호는 $\mathcal{L}$, $\mathcal{F}$를 사용한다. \usepackage{calrsfs}또는 \usepackage{mathrsfs}를 이용하면 폰트를 바꿀 수 있다. 하지만 폰트를 바꾸지 않고도 많이 쓴다.
\mathcal{F}[x(t)] = X(j\omega) = \int_{-\infty}^{\infty} x(t)e^{-j\omega t}dt

\mathcal{L}[f(t)] = \int_{0^-}^{\infty} f(t)e^{-st}dt


e 같은 것은 roman으로 식자하기도 하고, italic으로 식자하기도 한다. 미분 기호도 그렇다. 다음 글을 참고하자.

http://www.ktug.or.kr/jsboard/read.php?table=operate&no=4830

http://www.electriceditors.net/edline/vol3/3-4.txt

아무튼 미분 기호를 roman으로 쓰려면

\newcommand{\diff}{\mathrm{d}}

처럼 하면 된다.

Rank 등은 확실히 roman으로 하는 것이 맞다. log등은 \log라고 하면 되지만, \rank는 없으므로 다음과 같이 만들어주면 된다.

\DeclareMathOperator{\rank}{Rank}

몇 가지 테스트:

\Re, \mathfrak{R}, \mathrm{R}\\

\Im, \mathfrak{I}, \mathrm{I}\\

\mathbb{N}, \mathbb{Z}, \mathbb{Q},

\mathbb{R}, \mathbb{C}\\

\ell\\

\frac{dy}{dx} \qquad

\frac{\mathrm{d}y}{\mathrm{d}x}

\qquad \frac{\diff y}{\diff x}\\

Rank(A) \qquad \rank(A)\\

a_{min}, a_{\textrm{min}}

a_{\mbox{min}}, a_{\min}


아무튼 링크된 글과 그 답글들을 요약해보겠다.
단, 요약 과정에서 원문의 뜻이 달라졌을 수도 있다.

먼저 yhchoe님의 글:
대부분 dx의 d는 이탤릭으로 쓰는 경우가 많고, 델타 x의 \Delta는 세워쓴다고 한다.

복소수의 실수, 허수 부분을 나타내는 operator의 경우
유럽에서는 $\Re$(=$\mathfrak{R}$), $\Im$(=$\mathfrak{I}$를 쓰지만
미국에서는 그냥 Re, Im을 세워서 쓴다.

라플라스, 푸리에는 \mathscr을 쓴다고 한다.
(아까 적은 예제의 \mathcal과 \mathscr의 차이는 잘 모르겠다.
아무튼 이 분은 \mathscr을 언급하셨다.)

공집합 기호는 \emptyset으로 알고 있지만, amssymb 스타일에서 \varnothing을 쓰는 것이 맞다.
(이 부분은 왜 그런지 잘 모르겠다. 대부분 \emptyset을 많이 쓰는 것으로 알고 있다.)

자연수, 정수, 등등의 집합은 \mathbb{N}, \mathbb{Z}, \mathbb{Q}, \mathbb{R},\mathbb{C}로 쓰는 것이 좋다.

소문자 l은 보통 수식 속에서 $\ell$로 쓴다.

=====================================================================================
공집합 기호는 조금 애매하다.
그리스 문자 phi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확실한 것은 공집합 기호와 그리스 문자 phi는 다른 기호이다.
모양도 확실히 다르고 뜻도 다르니까.

그리스 문자 phi는 모양이 여러 가지가 있는데, 유니코드에는 4 개 이상이 있고, LaTeX에는 \Phi, \phi, \varphi가 있다.
http://en.wikipedia.org/wiki/Phi_%28letter%29

0이 빗금친 모양으로 생긴 여러가지 기호들:
http://en.wikipedia.org/wiki/%C3%98_%28disambiguation%29

모양이 비슷해도 의미가 다르면 다른 기호로 처리해서 유니코드에서도 따로 들어간다.


\phi가 아닌 것은 확실하나 \emptyset인지 \varnothing인지는 모르겠다.

=====================================================================================


아까 위에서 \DeclareMathOperator{\rank}{Rank}를 언급했다.

이것은 ams


하지만 다음 글에서 나오는 것처럼 하는 방법도 있다.

http://faq.ktug.or.kr/wiki/pds/UsefulDocuments/tex_ywk_xe.pdf


$\mathop{\mathrm{span}}\nolimits} \{v_1,v_2,\ldots,v_n\}$
$\operatorname{span} \{v_1,v_2,\ldots,v_n\}$
윽, 여기서 \nolimits는 뭐지?

\limits를 쓰면 아래 첨자를 쓸 때, 마치 lim아래 들어가듯이 아래로 들어가고, \nolimits는 옆으로 미는 것이고, \diplaylimits라는 것도 있고, intlimits, nosumlimits라는 옵션도 있다. 직접 써보기 전에는 뭐가 다른지 알기 힘들듯.


그 외에도 몇가지 내용이 있으니 링크된 그을 읽어보자.







Posted by asdfzxcv